anhy0923
HY's Embedded LAB
anhy0923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67)
    • UDS 진단통신 (1)
    • FreeRTOS (2)
    • ROS2 (5)
    • [EH전공] CAN 통신 (1)
    • C언어 튜터링: C로 로봇을 파헤쳐보자! (4)
    • [졸업작품] 외벽 균열 검사 로봇 (8)
      • 2021-2 <종합설계기획> (7)
      • 2022-1 <종합설계1> (1)
      • 2022-2 <종합설계2> (0)
    • TCP 기반 제어시스템 (7)
      • Robot Arm Control (5)
      • RPi CCTV Server (2)
    • Embedded System (6)
      • Linux (3)
      • Linux - Ubuntu (2)
      • RPi (1)
    • Drone FW using STM32CubeIDE (25)
      • 0. Intro (2)
      • 1. Debug (3)
      • 2. Sensor Interface (4)
      • 3. GPS (4)
      • 4. Transmitter_Receiver (3)
      • 5. Drone Body Asb (1)
      • 6. ESC Protocol (4)
      • 7. EEPROM (2)
      • 8. GCS (1)
      • PID Control (1)
    • Elec Academy (3)
    • HAL & LL Driver (1)
    • OpenCV - Lane Detection (1)

블로그 메뉴

  • 홈
  • 방명록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anhy0923

HY's Embedded LAB

STM32 MCU 선정과정
Elec Academy

STM32 MCU 선정과정

2021. 7. 17. 15:41

개발에 사용할 MCU를 선정할 때 체크해야할 것들이 몇 가지 있다.

보통 다음과 같은 지표를 확인한다.

 

1. Chip Feature

2. Debugging tool

3. Package Size (H/W)

4. Memory Size (S/W)

 

 각 MCU 회사마다 각 MCU 모델의 스펙을 정리해놓았다. ST사의 홈페이지(st.com)를 이용하여 ST사의 MCU를 선정하는 과정을 간략히 정리해보았다.

 

1. 개발 규모에 따른 MCU 선정

STM32 MCUs

 ST사의 MCU는 크게 4분류로 나뉘는데, 고성능(High Performance), 일반(Mainstream), 초저전력(Ultra-low-power), 무선(Wireless) 으로 나뉜다. 개발하고자하는 프로젝트의 규모나 MCU의 용도에 따라 적절한 MCU를 선택한다. 

 

 필자는 MCU study에 적합한 Mainstream의 MCU를 선택하였다.


2. Processor의 성능에 따른 MCU 선정

STM32 Mainstream MCUs

그 다음으로는 프로세서의 성능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DIMPS performance란 명령어의 수행 속도를 의미하며 CorMark score가 높을수록 중앙 처리 장치(CPU)의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Flash memory 용량의 대략적인 범위에 따라 선택할 수 있고 CAN 통신이 지원되는지 여부 등의 각 시리즈마다의 고유 특징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필자는 STM32 MCU의 가장 표준 모델(Foundation line)인 "STM32F1" 시리즈를 선택하였다.

 

※ p.s. 2번 과정을 끝내고 MCU를 대략적으로 선택하고자 한다면 3번 과정, 구체적인 기능을 하나하나 살펴보면서 고르고자하면 4번 과정으로 가면 된다. 글의 흐름은 3번 과정에서 STM32F103을 선택하여 4번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STM32F103C8 모델을 선정하는 흐름이다.


3. 대략적인 스펙을 고려한 MCU 선정

3-1.

 F1시리즈 중에서도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각 스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필자는 "STM32F103" 시리즈를 선택하였다.


3-2. 메모리 용량과 핀 수에 따른 MCU 선정

 다음은 메모리(Flash, RAM)의 용량과 핀 수를 고려한 MCU선정 단계이다.

 보통 메모리 용량은 S/W 설계자가 전체 프로그램의 크기를 고려하여 선정하고, 핀 수는 H/W 설계자가 설계의 필요에 맞게끔 선정한다. 이 과정에서 S/W와 H/W의 공동적인 MCU선정 과정이 필요하다.

 

 필자는 128K Flash memory, 20K RAM의 메모리 사이즈와 LQFP48 형식 MCU인 "STM32F103C8"를 선택하였다. LQFP48은 핀 수가 총 48핀으로 칩의 크기는 가로 7mm, 세로 7mm, 두께 1.4mm로 "7mm x 7mm x 1.4mm"의 칩 사이즈를 의미한다. 


4. 구체적인 스펙을 확인하여 MCU 선정

 MCU 시리즈 선정을 마쳤다면 마지막으로 구체적인 스펙을 확인하며 MCU를 선정해야한다. 

 ST사의 홈페이지에는 각 MCU의 스펙을 한눈에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표를 제공한다. 이 페이지를 활용하여 설계에 필요한 MCU를 선택하면 된다. 아래와 같이 비교하고 싶은 MCU 모델을 2개 이상 선택하여 스펙 비교가 쉽게 가능하다.

STM32F103C8과 STM32F103C4 스펙 비교

위의 그림으로 첨부한 페이지의 링크이다. (STM32F103 모델의 MCU의 스펙 정리)

STM32F103 - Arm Cortex-M3 Microcontrollers (MCU) 72 MHz - STMicroelectronics

 

STM32F103 - STMicroelectronics

STM32F103 microcontrollers use the Cortex-M3 core, with a maximum CPU speed of 72 MHz. Its portfolio covers from 16 Kbytes to 1 Mbyte of Flash with motor control peripherals,

www.st.com

스펙을 비교하며 최종적으로 "STM32F103C8" MCU 모델을 선정하였다.

 

 

출처: st.com

'Elec Acade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ec Academy - Embedded System Portfolio  (0) 2021.09.09
통신 프로토콜: I2C, SPI  (0) 2021.07.13
    'Elec Acade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 Elec Academy - Embedded System Portfolio
    • 통신 프로토콜: I2C, SPI
    anhy0923
    anhy0923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