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bedded System
![[Embedded System - RPi] SAMBA 서버 설치](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kx6Qj%2FbtrlDeLIK4d%2FAAAAAAAAAAAAAAAAAAAAAItFzEeSKqHVT3sXbe3oBeOQdJhWoW9twn3YazVq2W-F%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KZvuvlqZpHG68yizPiuRA45NGyo%253D)
[Embedded System - RPi] SAMBA 서버 설치
SAMBA란, Windows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PC에서 Linux 또는 UNIX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이나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능이다. SAMBA 서버를 사용하여 윈도우 PC에서 Linux PC의 디렉터리에 접속하여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우분투와 같은 리눅스도 설치해 PC 윈도우와 파일들을 공유할 수 있다. 1991년 호주의 박사과정 학생이었던 앤드루 트리젤(Andrew Tridgell)이 개발 SMB/CIFS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사용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하에 배포된다 SAMBA라는 이름은 서버 메시지 블록(SMB)에서 왔으며, 이는 윈도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의 이름이다 삼바는 애플사의 Mac OS X 서버를 포함하여 리눅스, 솔라리..

fpga_interface_driver.c 분석
/*---------------------------------------- 프로그램 설명: 라즈베리파이와 FPGA간의 interface를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그램 ----------------------------------------*/ /* FPGA LED Ioremap Control FILE : fpga_fpga_itf_driver.c*/ /*---------------------------------------- 사용되는 각종 헤더 파일의 정의 ----------------------------------------*/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
![[Embedded System - Linux] 각종 software 설치 & 공유 폴더 설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gf2F4%2FbtrjCS4sZgQ%2FAAAAAAAAAAAAAAAAAAAAADg0gSMjJNWAdWVdoqF_M9ELstwvsBzU5gwpuR3u93XQ%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IbY2%252BVVm%252Flk3Z7xnk2l2YbrGeeM%253D)
[Embedded System - Linux] 각종 software 설치 & 공유 폴더 설정
이번에는 개발에 필요한 각종 tool과 library, ubuntu package를 설치하고 Window와 Ubuntu간의 공유 폴더를 설정해볼 것이다. 1. VMware Tool 설치 2. Library 및 Package 설치 3. Toolchain 설치 4. Window - Ubuntu 간의 공유폴더 설정 0. root 계정 앞으로 진행할 대부분의 작업은 시스템을 건드리는 작업이 많으므로 항상 root 사용자로 로그인을 해서 작업 해야한다. root 계정의 암호를 재설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sudo passwd root 또한 su - 명령으로 계정이름을 root 계정으로 진입도 가능하다. su - 는 su 와 동일한 기능이나 추가적으로 슈퍼유저의 "&PATH" 까지도 획득한다. 1. VMware..
![[Embedded System - Linux] VMware Player & Ubuntu 18.04 LTS 설치](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cCvs2%2FbtrjkZJUk9A%2FAAAAAAAAAAAAAAAAAAAAALl2_CHo5Gw8bhG3aZL6q1fO6SJ8kxNDhGqR5XpsICx2%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fIwTYVm%252BwNQseUlPghmKbl90%252BU4%253D)
[Embedded System - Linux] VMware Player & Ubuntu 18.04 LTS 설치
Window Host PC에 VMware라는 가상머신을 설치하여 그 위에 Ubuntu라는 Linux OS를 올려보겠다. 1. Download VMware, Ubuntu 먼저 VMware Player를 다운로드한다 Download VMware Workstation Player | VMware 그리고 Ubuntu를 다운로드한다. Ubuntu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으려고 하면 현재 최신 버젼인 20.04 LTS 버젼이 다운로드 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전 버전인 18.04 LTS 버전을 다운 받으려면 아래의 페이지에서 받을 수 있다. Ubuntu 18.04.6 LTS (Bionic Beaver) Ubuntu 18.04.6 LTS (Bionic Beaver) Select an image Ubuntu is dist..
![[Embedded System - Linux] 리눅스 명령어](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d81w9U%2FbtrfqEwnlto%2FAAAAAAAAAAAAAAAAAAAAAKqYskxfQEMa6L_QA6IKHT7DqvBQTSjuVVnaRGHgElVc%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YnhkC%252FMlVQnEaHblIpI0asBD6Zc%253D)
[Embedded System - Linux] 리눅스 명령어
실습에 사용할 리눅스의 주요 명령어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였습니다. su = super user (Suspend a User) 최상위 권한을 갖는 유저(root 계정)를 뜻함. root나 다른 사용자로 변경하는 명령어 root 계정 활성화 : 리눅스에서 디바이스 파일을 다루는 작업은 슈퍼 유저(root)의 권한이 필요한데, Debian계열의 리눅스에서는 보안상의 이유로 root가 비활성화되어 있고 로그인도 차단한다. 리눅스를 처음 설치한 후 roo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root의 암호를 입력해서 계정을 활성화해주는 별도의 과정이 필요하다. 해당 터미널 세션에 한해서 일시적으로 root 권한 부여 Home 디렉토리가 /root 로 변경됨. 사용자를 전환하여 쉘을 실행한다. 일반적으로 일반계정의 사용자가 특정..
![[Embedded System - Linux] 리눅스의 종류](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mynvu%2FbtrfG3AAF4c%2FAAAAAAAAAAAAAAAAAAAAACeZiHKt7YHgBlGfFcQdXPzQZXOqRlRkRSnhFeFoXl7n%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tIGVAgtHpFqZJJYk7qBxqsDIVBQ%253D)
[Embedded System - Linux] 리눅스의 종류
1. Debian 데비안(Debian)은 데비안 프로젝트에서 만들어 배포하는 공개 운영 체제이다. 이름의 유래는 데비안 프로젝트의 창시자인 이안 머독(Ian Murdock)과 그의 부인(당시 여자친구)인 데브라(Debra)의 이름이 서로 합쳐져서 유래했다. 데비안은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부터 전화기, 노트북, 데스크탑 및 서버까지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데비안은 안정성과 보안에 중점을 두며 사용자 편리성이 강한 우분투등 다른 많은 리눅스 배포판의 기반으로 쓰이고 있다. 데비안은 현존하는 리눅스 배포판 중 가장 안정적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규모도 방대하며 주로 고급 서버에 많이 쓰인다. 리눅스 커널을 탑재한 데비안 GNU/리눅스, GNU 허드(GNU Hurd) 커널을..